본문 바로가기

STEM(융합교육)

홀로그램이란?

여러분의 지갑 속에 홀로그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지갑 속에 지폐와 신용카드를 소지하고 있다면 한번 꺼내보세요.

마스터 카드 뒷면의 세계지도 모양이나 비자 카드 뒷면의 비둘기를 보면 무지개색이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홀로그램의 3차원 이미지를 나타내며 레이저 광선에 의해 형성되는 것입니다.

 

홀로그램(Hologram)이란?

 

홀로그램이란 용어는 그리스어로 '완전한'이라는 의미의 'Holos'와 '정보, 메시지'라는 의미의 'Gramma'의 합성어입니다.

홀로그램은 홀로그래피를 통해 사물을 평명상에서 입체로 보이게 하며 홀로그래피란 단일한 레이저에서 나온 특정 주파수로 레이저 광이 많이 사용됩니다.

 

홀로그래피를 고안한 데니스 가르보는 1971년 "홀로그램 방법의 발명과 개발"에 대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홀로그래피는 전자 현미경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었습니다.

광학 홀로 그래피는 1960년 레이저가 발명될 때까지 발전하지 않았으며 1980년대까지 지연되었습니다.

 

 

1968년 미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벤텐에 의해 개발된 홀로그램은 오늘날 많이 사용되는 무지개 홀로그램을 만들었으며 마스터카드가 처음으로 신용카드 위조 방지를 위해 홀로그램을 도입했으며 비자카드도 대표 문양인 비둘기 홀로그램을 선보였습니다.

오늘날 홀로그램은 데이터 저장, 엔지니어링, 광학 통신 및 보안, 홀로그램 스캔에 사용됩니다.

또한 계산대 스태너에 사용되며 의사들은 환자의 생체 내부 장기에 홀로그램을 통해 3D로 볼 수 있습니다.

 

credit @pixabay

 

홀로그램 보기

 

일반 조명에서 볼 수 있는 홀로그램은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며 레인보우 홀로그램의 경우 수평 슬릿을 사용하여 표준 전송 홀로그램을 복사합니다.

홀로그램을 다른 각도에서 보면 실제 물체를 보는 것처럼 다름 관점에서 물체를 볼 수 있습니다.

일부 홀로그램은 지나가고 다른 각도에서 볼 때 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어떤 것은 보는 방식에 따라 색상을 변경하거나 완전히 다른 모양을 나타냅니다.

 

홀로그램의 놀라운 점은 실제 물체를 3차원 이미지로 보여 주는 2차원 표면이기 때문입니다.

이미지를 3D로 보기 위해 특수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홀로그램의 또 다른 특징은 절반으로 자르면 각 절반에는 전체 홀로그램 이미지의 전체가 포함됩니다.

작은 조각을 잘라내어도 마찬가지이며 심지어 작은 조각에도 전체 그림이 포함됩니다.

돋보기의 홀로그램을 만들면 홀로그램 버전은 홀로그램의 다른 물체를 실제처럼 확대합니다.

 

credit @pixabay



홀로그램 응용 분야

 

가장 기대되는 홀로그램 기술은 안경 사용이 필요 없는 3D TV의 개발입니다.

또 다른 응용 분야로는 공중 홀로그램 개발이며, 이 공중 촉각 홀로그램 시술은 도쿄 대학에서 개발 한 장치로 이러한 홀로그램은 물체를 공중에 떠있는 3차원으로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체를 만질 수 있다는 환상을 일으킵니다.

 

홀로그램은 현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인간의 뇌가 홀로그램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미용실에서 3D를 통해 헤어 스타일을 정하고 특수 안경이 필요 없는 3D TV 시청까지 홀로그램의 다양한 실제 생활 활용도가 기대됩니다.